티스토리 뷰
우리나라에서 65세 이상 어르신이 주변에 계시거나 본인이시라면 주목해 주세요. 폐렴구균 때문에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 발생빈도가 높아지면서 예방접종을 할 것을 정부에서 권장드리고 있습니다. 연중으로 진행되기에 접종은 한 번만 하면 됩니다. 접종하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의 글을 참고해 주세요.
어르신 폐렴구균 예방접종 사업내용
사업개요 | |
사업대상 | 65세 이상 어르신(1959.12.31. 이전 출생자. 2024년도 기준) 과거 65세 이상에서 접종한 경우라면 더 이상 접종이 필요 없습니다.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내용 | 폐렴구균 23가 다당 백신(PPSV23), 1회 접종 지원 |
접종기관 | 보건소(지소 및 진료소 포함) 및 지정의료기관 지정의료기관이 아닌 곳이라면 예방접종 비용을 지원 받으실 수 없는 점 참고해주세요. |
65세 이상 어르신은 폐렴구균으로 인하여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 발생빈도가 높기도 하고 어르신에서 폐렴구균에 의한 균혈증이 발생할 경우라면 사망률이 무려 60%나 됩니다. 수막염일 경우 사망률은 80%에 이르기에 접종이 필요합니다. 또한 65세 이상 어르신의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택에서 가까운 지정의료기관을 찾으시어 비용부담을 덜어 접종이 가능하도록 정부에서 폐렴구균 23가 다당백신인 PPSV23 접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정의료기관 찾는 방법
위의 바로 찾기에서는 65세 이상 어르신의 PPSV3 백신 예방접종 비용을 지원하는 의료기관을 찾을 수 있되 백신의 남은 수량은 참여 의료기관에서 실제 보유량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니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서는 접종 가능 여부를 확인하신 후에 방문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예방접종등록사업
예방접종등록사업의 추잰 배경과 필요성이라고 한다면 예방접종기록의 경우에는 각 의료기관들이 개별적으로 기록하고 관리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개인에 대한 접종기록이 분산되기도 하며 접종기록의 보관이나 관리가 소홀해지며 이사를 하거나 의료기관의 폐업 등으로 인하여 개인의 예방접종의 기록관리가 어려운 게 현실이었습니다. 이에 따라서 국가차원에서 예방접종기록을 효율적으로 보관 및 관리하기 위하여서 이를 전산화하고 표준화하기로 하였습니다. 통합DB를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개인별 접종일정과 다음 접종 안내 등을 통하여 누락자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게 되어 접종률 향상을 할 목적으로 만들었습니다.
추진목표
- 개인별 예방접종기록의 전산화 및 표준화
- 예방접종기록의 통합 DB 구축 및 활용
- 누락접종과 접종일정 안내 등의 예방접종 정보서비스 제공
- 예방접종률을 파악하는 노력을 통해 감염병 발생 예측이 가능한 시스템 구현